건강한 블로그
혈중 AsAGP측정으로 간섬유화 조기 진단해 간경변증, 간암 예측 본문
디아젠 'AceGP ELISA 키트' 로 간경변증 74%까지 알아내 간섬유화 조기 진단하는 유일한 혈액검사법이다. 간은 70%가량 손상돼어도 자각 증상이 전혀 없다. 그래서 '침묵의 장기'로 불린다. 몸이 붓고, 복수, 황달이 나타나다면 이미 70% 이상 간이 손상돼 치료하기 어렵다. 간은 만성 간염이 악화돼 섬유화 과정을 거쳐 간경변, 간암으로 악화하고 결국 간기능부전으로 사망하게 된다.
간 기능 검사에 쓰이는 아미노전이효소 (AST, ALT), 전산탈수소효소(LD), 수치가 정상일 때가 적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빌리루빈, 알부민, 프로트롬빈 등도 간 손상 여부를 제대로 알아내기 어렵다. 최근 국내 바이오기업이 간섬유화를 조기 발견해 만성 간질환 악화 여부를 일찍 알아내는 검사법을 세계최초로 개발했다. 바이오기럽 '디아젠'은 "간에서 주로 생성돼 열액 속 염기성 약물을 운반하는 당단백질인 AGP(Alpha-1 acjd glycoprotein)에서 변형된 AsAGP의 농도를 측정해 만성 간염 여부와 간섬유화 조기 진단으로 간경변증, 간암 등을 조기 진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이젠이 개발한 'AceGP ELISA 키트' 로 측정한 혈중 AsAGP 수치가 높을수록 간섬유화가 더 많이 진행됐다는 뜻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하고 있다. 간섬유화 진단법으로 현재 간조직 생검이나 자기공명탄성도검사(MRE), 간섬유화 스캔(FibroScan)등을 이용한 값비싼 영상검사 밖에 없다. 빌리루빈, 알부민, 프로트롬빈 등 현재 쓰이는 간 기능 검사는 간경변증 초기단계에서는 거의 정상 소견을 보이기 때문에 혈중 AsAGP특정법은 혈액으로 간경변증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유일한 검사법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간 기능 검사에 혈중 AsAGP측정법을 이용하면 진행성 만성 간질환의 악화 여부를 계속 추적 관찰할 수 있고 만성 간염에서 간경변증 초기 단계로 병기 진행 여부도 조기에 알 수 있다, 'AceGP ELISA 키트' 를 이용한 혈중 AsAGP 측정 검사비는 3만~5만원 정도로 간섬유화 스캔, 자기공명탄성도 검사, 조합형 직접표지자 등 다른 간질환 검사비보다 편리하고 저렴하다.
'건강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다공증 예방법으로 칼슘섭취와 운동이 묘약 (0) | 2018.10.17 |
---|---|
전립선암 급증! 전립선암 예방과 치료법을 알아보자 (0) | 2018.10.12 |
여름질병 중 폭염으로 인해 주의해야할 질병 확인하세요 (0) | 2018.07.29 |
대사증후군의 원인인 내장지방 비만 꼭 확인하세요 (0) | 2018.07.28 |
효과적인 골반 교정 스트레칭 방법 (0) | 2018.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