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블로그
부비동염 증상, 코막힘과 콧물인 비루, 발열, 권태감, 졸림 등 본문
부비동염 증상에 대해서 살펴보자. 대표적인 부비동염 증상으로는 코막힘과 콧물이 나고 졸리거나 심할경우 발열까지 생긴다. 부비동염 증상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부비동은 코 주위의 얼굴 뼈 속에 있는 빈 공간으로 호리병같이 생긴 구조물로 입구가 좁고 안은 넓다. 이 공간들은 자연공이라는 작은 구멍을 통해 콧속과 연결되어 있고 이를 통해 부비동 내로 공기의 환기 및 분비물의 배설이 이루어진다. 부비동염은 이 자연공의 폐쇄가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그 외에도 섬모의 비정상적 움직임인 섬모수 감소, 섬모 기능의 장애나 분비물의 과다한 생산 및 콧물의 점도 변화 등에 의해서도 부비동 내에 분비물이 고일 수 있다.
급성부비동염은 부비동 점막에 급성으로 발생한 염증성 질환을 통징하는 것으로 질환 기간이 4주간 이내로 후유증이 남지 않고 완전 회복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염증 과정은 내과적 치료로 회복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급성 부비동염은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나 알레르기 비염이 먼저 발생한 후 이차적으로 세균 감염이 발생하여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드물지만 비강 재 혹은 부비동 내 종양으로 인해 부비동염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급성부비동염의 증상은 상기도 감염시에 나타나는 코막힘과 콧물인 비루, 발열, 권태감, 졸림 등이다. 심한 경우 얼굴 부위의 압통과 두통이 동반되기도 한다. 농이 생길 경우 코로 흘러내리기도 하고, 일부는 코에서 목 뒤로 넘어가는데 이를 뱉어내면 농이 누런색이나 초록색을 띠고 있는 경우도 있다. 코가 막히면 냄새를 맡을 수 없게 되기도 한다. 이상한 냄새가 나기도 한다. 다른 증상 없이 기침만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급성부비동염은 적절한 항생제를 충분한 기간 동안 투여하여 비강과 부비동의 자연공 점막을 수축시켜 배액과 환기를 촉진시키기 위해 단기간 비점막 수축제를 국소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3~5일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한다. 그회에도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코를 세척하기도 하고 급성기를 지나 아급성기에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삼악동을 뚫어 세척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건강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빨리 잠드는법, 잠이안올때 발마사지와 따뜻한물로 샤워하세요 (0) | 2016.10.31 |
---|---|
지방간 치료방법 확인하고 지방간 원인도 알아보세요 (0) | 2016.10.30 |
술먹고 토하는 이유 (0) | 2016.10.15 |
우울해지기 쉬운 가을, 우울증 피하는 5가지 방법 (0) | 2016.10.11 |
아르간오일효능 피부의 수분 증발을 억제한다고 한다 (0) | 2016.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