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블로그
산모의 건강을 유지하고 태아 성장에 좋다는 이유로 임신 중 수영, 요가, 필라테스를 하는 여성이 많아졌다. 임신 기간을 고려하지 않은 운동은 오히려 해로울 수 있으므로 임산부의 신체 상태에 맞춰 운동 방법이나 강도를 조절해야 한다. 신체 유연성을 돕는 요가와 필라테스의 경우 천장을 향해 눕는 자세에 주의해야 한다. 임신 30주 이후에는 누운 자세로 오래 있으면 커진 자궁이 정맥을 압박해 혈액 순환을 방해한다.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는 채아에게 악 영향을 비칠 수 있다. 엎드려 뻗친 자세와 다리를 높게 들어 올리는 것도 복부와 자궁에 압박을 주므로 피해야 한다. 오랫동안 누워있을 경우 심하면 저혈압을 인해 임신부가 정신을 잃을 수도 있다고 한다. 누워서 하는 운동이라면 대정맥 압박을 피해 왼쪽으..
우리가 먹는 약은 대부분 냉장고에 보관을 하게되면 냉장고 안의 습기로 인해 약이 녹거나 오염될 수 있다. 알약에는 약의 형태를 유지해주는 전분이 들어 있는데 냉장고에 넣었다 빼면 습도와 온도가 바뀌기 때문에 균이 번식할 위험이 커진다고 한다. 약의 성분에 따라 보관법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냉장보관을 권장한 약이 아니라면 상온에 보관하여야 하며 물약의 경우도 냉장 보관하면 약 성분이 결정 형태로 뭉쳐져 아래로 가라앉고 맛이 쓰게 변할 수 있다. 약의 보관장소로 적당하지 않은 곳은 식탁, 화장실 세면대 위, 주방은 습기가 많고 온도 변화가 많은 곳이기 때문에 약을 보관하는 장소로 적당하지 않다. 식탁은 뜨거운 음식이나 국물이 많은 음식이 놓이기 때문에 습기와 온도가 변해 약의 벼형이..
변비는 집과 다른 환경에서 평소 먹지 않던 음식을 먹을 수 있고 장거리 이동에 의한 대장운동 약화가 휴가철 변비의 원인이다. 변비란 2006년 마련된 '로마진단기준Ⅲ'에 따르면 배변 시 무리한 힘이 필요, 지나치게 굳은 대변, 불완전 배변감, 항문직장 폐쇄감, 용이한 배변을 위해 손동작이 필요, 일주일 배변 횟수 3회 미만등 6가지 기준 중 2개 이상에 해당되면 변비로 본다. 변비 증상이 왔을 때 식이섬유가 많이 든 음식과 물을 많이 섭취하는 것은 틀린 상식이다. 식이섬유와 물을 충분히 섭취하는 게 소화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긴 하지만 이미 변비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효과가 크지 않다고 한다. 식이섬유 섭취의 변비치료 효과는 미미하다고 한다. 변비가 생겼다면 변비약을 복용하는 게 효과가 훨씬 크다. 변비가..
머루는 포도과에 속하는 넝쿨성 낙엽식물이다. 머루란 산포도의 총칭이며 머루속과 개머루속으로 크게 구분된다. 머루속에는 왕머루, 새머루, 까마귀머루 등이 있다. 어린순과 과실은 식용을 하며 옛날에는 무긋과 둥글레의 뿌리와 머루순을 넣어 고은 물곳의 재료로 쓰였으며 물곳은 구황식품의 하나였다. 머루의 과실에는 주석산과 구연산 등이 함유되어 있어 포도주와 주석산 제조의 원료로 사용되었다. 머루는 머루주로 유명하다. 머루의 달콤하고 시큼한 맛이 특징이며 예날 아이들의 인기있는 간식이었다. 머루가 완전히 익으면 머루 표면에 백색 분말이 덮인다. 이때 수확하는 것이 가장 좋다. 머루의 열매즙은 피부암에, 열매와 잎은 괴혈병 치료약으로 쓴다. 특히 비타민A 결핍증인 야맹증에 효과가 있다. 열미에는 단백질, 지질, 탄..